정부, 공공단체, 주식회사 등이 일반인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채무이행약속증서를 발행하는 증권입니다.
*채권 이해하기
"언제까지(만기일)
얼마(원금)를 빌리는 대가로
이자 OO%를 주겠습니다."
**기업
채권은 정부, 공공단체와 주식회사 등이 일반인으로부터 비교적 거액의 자금을 일시에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차용증서이며, 그에 따른 채권을 표창하는 유가증권입니다.
채권의 종류와 발행처
- 국공채 : 정부/공공기관에서 발행
- 금융채 : 금융기관에서 발행
- 회사채 : 일반 기업에서 발행
채권은 상환기환이 정해져 있는 기한부 증권이며, 이자가 확정되어 있는 확정니자부 증권이라는 성질을 가집니다. 채권은 대체로 정부 등이 발행하므로 안전성이 높고, 이율에 따른 이자소득과 시세차익에 따른 자본소득을 얻는 수익성이 있습니다. 현금화할 수 있는 유동성이 큽니다.
이러한 특성에 의해 채권은 만기와 수익률에 따라 주요한 투자자금의 운용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합니다.
채권은 대규모 자금조달수단이라는 점에서 주식과 유사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채권은 타인자본이며, 증권소유자가 채권자로서 이익이 발생하지 않아도 이자청구권을 갖고, 의결권의 행사에 의한 경영참가권이 없으며 상환이 예정된 일시적 증권입니다. 이에 반해 주식은 자기자본이며, 증권소유자가 주주로서 이익이 발생하여야 배당청구권을 갖고, 의결권의 행사에 의한 경영참가권이 있습니다. 장차 상환이 예정되지 않은 영구적 증권이라는 점에서 크게 다릅니다.
채권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요소는 채권수익률입니다.
채권수익률이란 채권에 투자하여 얻을 수 있는 수익의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이며 예금의 이자율에 상당하는 것으로 발행수익률, 시장수익률, 실효수익률 등으로 구분됩니다. 가장 큰 변동요인은 채권의 수요와 공급인데, 주로 공급은 일정한 계획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반면에 채권의 수요는 채권의 가격에 탄력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채권의 가격은 만기, 발행주체의 지급불능 위험과 같은 내부적 요인과 시중금리, 경제상황과 같은 외부적 요인 등에 의한 수요와 공급의 추이에 따라 결정되며 수시로 변합니다.
1. 금리변동 걱정은 NO!
구매한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하면
구매할 때의 확정된 투자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단, 채권을 발행한 회사에 문제가 없어야 해요.
회사의 신용등급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회사신용등급체계
B, BB - 투기등급
BBB, A, AA, AAA - 투자 적격 등급
2. 정해진 날에 이자 입금
이자 지급 방법에 따른 채권분류
- 이표채 : 일정 기간에 이자를 나누어 지급
- 할인채 : 이자 대신 가격을 할인해서 판매
- 복리채 : 중간 이자 없이 만기에 이자 지급
3. 금리 상승기를 노릴 것
채권도 주식처럼 가격이 매일 다릅니다.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의 가격이 내려갑니다.
※ 채권과 어음 차이
*채권 : 돈을 빌렸다는 것을 증명하는 차용증서의 일종(자본시장법창 채무증권)입니다.
*어음 : 몇 개월 뒤에 그에 상응하는 돈을 주겠다는 것을 포기한 미래 현금지급증서의 일종입니다.
*채권 : 보통 만기가 1년 이상이기 때문에 시설 투자 등 중장기자금용도를 위해 발행됩니다.
*어음 : 보통 만기가 하루 짜리에서 1년(통상 90일이 표준)이기 때문에 단기 자금융통용도로 많이 발행됩니다.
※채권과 주식의 차이
- 채권 : 사람들에게 돈을 빌려 꼬박꼬박 이자를 지급하고 만기에 원금을 갚습니다.
- 주식 : 사람들에게 투자금을 받아 사업을 하여 수익이 나면 일정한 비율로 나눠줍니다.
☞주식을 사면?
회사가 수익을 내지 못해 주가가 떨어지면 그만큼 투자자의 투자금도 줄어듭니다. 회사가 큰 수익을 내 주가가 오르면 그만큼 투자자의 투자금도 늘어납니다. 위험부담이 큽니다.
☞채권을 사면?
회사가 부도가 나서 망하지 않는 한, 처음에 약속한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만기가 되면 원금도 받습니다. 주식에 비해 안정적입니다.
토스 목돈 굴리기 좋은 투자상품 구경하기
발행어음
한국투자증권
퍼스트 발행어음 특판 6개월~1년 (연 5.6%~6.0%)
채권
국고채
국고채권 01125~2509, 2년 8개월 (연 4.15%)
sc제일은행
스탠다드차타드은행 20-02-ol02-11, 1년 1개월 (연5.2%)
현대위아
현대위아 85-1, 1년 3개월 (연6.0%)
동원산업
동원산업36, 1년8개월 (연 5.89%)
'생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12.30 소식통 (0) | 2022.12.30 |
---|---|
소비기한 유통기한에 대해서 알기 (0) | 2022.12.23 |
아이 초등학교 입학 전 알아둘 사항들 (0) | 2022.12.19 |
크리스마스 오르골 워터볼, 오르골의 유래, 어원 (1) | 2022.11.22 |
김태리 송중기 열애설?사실 무근 김태리 필모 (0) | 2022.10.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