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영화

중증외상센터. 나? 오늘부터 이 병원 중증외상팀 교수다

by 우주의여신 2025. 1. 25.



네이버시리즈 웹소설 '중증외상센터: 골든 아워'를 원작으로 한 드라마 넷플릭스(Netflix) 시리즈 '중증외상센터'가 24일 전세계 동시 공개됐다.


https://naver.me/GxkwkrTo

Netflix Korea

본인 스스로 밈이 되어버린 사람 | 넷플릭스 중증외상센터

bridge-now.naver.com




드라마 중증외상센터는 외과 전문의 백강혁(주지훈)이 유명무실한 중증외상팀을 심폐 소생하기 위해 부임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 의학 드라마다. 전장을 누비던 천재 의사 백강혁과 그의 제자 양재원(추영우), 간호사 천장미(하영)를 포함한 중증외상팀 구성원들이 다양한 위급 상황에 대응하며 성장해 나가는 이야기가 전개될 전망이다.


백강혁




나? 백강혁. 오늘부터 이 병원 중증외상팀 교수다.

실력도, 돈도, 사명감도 있지만 싸가지가 없는 천재 외과의사. 위급상황에서도 초인적인 능력으로 신들린 스킬을 발휘하며, 과거 ‘국제 평화 의사회’ 에이스로도 활약했다. 한국대학병원의 중증외상팀을 심폐 소생하기 위해 등판한다.


양재원




전...외상외과를 선택하겠습니다.

백강혁의 현란한 수술 스킬에 반해 낚여버린 외상외과 첫 제자. 항문외과 펠로우로 지내던 중 중증외상팀으로 스카웃된다. 허당미 넘치지만 실력만큼은 어디 내놔도 빠지지 않는 인물로, 백강혁을 따라 사선을 넘나드는 중증 환자들과 온몸을 내던진 사투를 벌이며 성장해 간다.


천장미




안돼요! 이 사람 조폭이란 말이에요! 놓으면 환자 죽일 거예요!

중증외상팀 5년 차 시니어 간호사. 책임감도 강하고 실력도 좋은 베테랑으로, 백강혁이 ‘조폭’이라는 별명을 붙일 만큼 당차고 깡다구가 좋다. 그 누구보다 화끈하게 중증외상팀을 지키고자 고군분투한다.



네이버시리즈 웹소설, 웹툰으로도 볼 수 있다.

원작과의 차이점

원작 소설의 백장미가 천장미로 변경되었다.

원작 소설의 작가 이낙준이 본인이 참여하는 유튜브 채널 닥터프렌즈에서 중증외상센터 드라마의 예고편 리액션을 하면서 말하길, 백강혁, 백장미 하면 남매 같으니까 바꿨다고 밝혔다.

실제로 성격도 비슷하다 보니 성도 같으면 오해할 것을 대비해 바꿨다고 한다. 이 때문에 본인이 소설을 쓸 때 생각이 없었다고 언급도 하였다.

보건복지부 장관의 성별이 남성에서 여성으로 변경되었다.

박경원이 장발의 묶은 머리로 등장한다.

이기영, 이혜영 남매의 장기 기증 에피소드의 경우 원작에서는 각각의 배우자도 차에 탑승해서 사망하나 드라마에서는 언급이 없다..

백강혁의 출신 대학교가 원작에서는 무안대학교였으나, 무한대학교로 변경되었다.


뒷이야기

백강혁이 몸담았던 민간 군사 기업의 이름이 블랙 워터스에서 블랙 윙즈로 변경되었다.

외상외과와 권역외상센터를 배경으로 한 세 번째 드라마 작품이다.

한유림의 경우 원작에서는 60을 바라보는 나이에 외과 과장이지만 40대 중반의 배우가 캐스팅되었다. 물론 이 배우가 50대의 역할을 맡을 수도 있지만, 단순 나이 소폭 조정 이외의 추가적인 설정이 변경될 가능성도 있기에 자세한 건 드라마가 방영해봐야 한다.


원작에서 양재원은 백강혁에 비해 키도 작으며  쭈굴미가 있는데 키가 187cm로 백강혁 역의 주지훈과 비슷한 체격의 추영우가 캐스팅되면서 미스캐스팅 아니냐는 농담도 있다.


중증외상센터



드라마 주 배경인 '중증외상센터'가 실제 하는 역할에 대해 알아본다.

https://www.netflix.com/kr/title/81677629?s=a&trkid=13747225&trg=cp&vlang=ko&clip=81969322



중증외상센터는 응급의료센터의 상위개념으로 치명적인 외상을 입은 응급환자를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곳이다. 주로 의식 상태나 혈압, 호흡 등이 비정상적일 정도로 심각하게 다친 환자가 방문한다.



중증외상이 발생하는 원인을 살펴보면 대부분 운수사고(49.1%)나 추락·미끄러짐(43.8%)으로 발생했는데, 손상 부위는 두부(42.4%), 흉부(32.7%), 하지(13.5%) 순으로 많다.


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두부 손상의 사례를 살펴보면 두부 손상에는 외상에 의해 일시적인 의식 소실이 발생한 '뇌진탕', 뇌실질에 출혈이 발생한 '뇌좌상', 뇌를 보호하는 두개골에 골절이 발생한 '두개골 골절' 등이 있다.


구체적인 손상 부위와 정도에 따라 심한 두통, 구토, 기억 상실 등의 증상이 발생하며 손상 정도가 심각할 경우 영구적인 장애가 발생하거나 사망에 이를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119에 신고해야 한다.


특히 환자가 심정지 상태라면 4분만 지나도 뇌 손상이 오고, 5분이 지나면 사망률이 급격히 올라가므로 구급대원이 도착하기 전에 심폐소생술(CPR)을 하는 게 가장 좋다.


현장에 구급대원이 도착하면 현장 처치 후 이송 병원을 결정하게 되는데 이송 예상 거리가 30km 이상이거나 예상 소요 시간이 1시간 이상일 때에는 헬기 이송 요청도 가능하다.


환자가 외상을 입었을 때 치료로 죽음에 이르는 걸 막을 수 있는 가능성이 큰 시간을 뜻하는 '골든 아워(golden hour)' 안에 병원에 도착하기 위해서다.

댓글